GRUB에서 특정 시리얼 콘솔(`ttyS0`)을 사용하여 부팅하도록 설정하려면, GRUB의 부팅 명령어에 커널 파라미터를 추가해야 합니다. `ttyS0`를 사용하도록 GRUB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팅 시 GRUB 메뉴에서 편집 모드로 들어갑니다.
2. 부팅 항목을 선택하고 'e' 키를 눌러 편집합니다.
3. `linux` 커널 라인 (일반적으로 `vmlinuz`로 시작하는 라인) 끝에 다음과 같은 커널 파라미터를 추가합니다:

   ```
   console=ttyS0,115200n8
   ```

   여기서 `115200`은 보드레이트를 나타내며,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 `n8`은 No parity, 8 데이터 비트를 의미합니다.

4. `Ctrl+X` 또는 `F10`을 눌러 이 설정으로 부팅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이 `ttyS0` 시리얼 콘솔로 부팅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콘솔을 통해 인터랙션할 수 있게 됩니다.

GRUB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etc/default/grub` 파일을 수정하고, `GRUB_CMDLINE_LINUX` 항목에 `console=ttyS0,115200n8`을 추가한 후, `update-grub` 명령어를 실행하여 GRUB 구성을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보드레이트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는 몇 가지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 1. 기존 설정 확인
기존에 시리얼 콘솔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etc/` 디렉토리 아래의 설정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RUB 설정 파일:** `/etc/default/grub` 파일에서 `GRUB_CMDLINE_LINUX` 항목을 확인하면, 이미 설정된 보드레이트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ash
  GRUB_CMDLINE_LINUX="console=ttyS0,115200n8"
  ```

- **시리얼 설정 파일:** `/etc/inittab` 또는 `/etc/securetty` 파일에서도 설정된 보드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BIOS/UEFI 확인
일부 시스템에서는 BIOS 또는 UEFI 설정 화면에서 시리얼 콘솔의 보드레이트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BIOS/UEFI 설정에 들어가서 시리얼 포트 설정을 확인하면 보드레이트를 알 수 있습니다.

### 3. 시리얼 통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확인
만약 설정 파일에서 보드레이트를 찾을 수 없거나,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는 경우, 시리얼 통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드레이트를 직접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Minicom, PuTTY, Tera Term 등:** 시리얼 콘솔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에서 다양한 보드레이트를 시도하여 정상적인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보드레이트는 `9600`, `19200`, `38400`, `57600`, `115200`입니다.

### 4. dmesg 로그 확인
시스템이 부팅된 상태라면, `dmesg` 명령어를 사용하여 커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메시지에 시리얼 포트 초기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bash
dmesg | grep ttyS
```

이 명령어는 `ttyS`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정보에는 사용 중인 보드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보드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OS 화면에서 시리얼 포트의 보드레이트를 확인하는 방법은 시스템의 제조사나 BIOS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BIOS에서 시리얼 포트 설정 확인하기

1. **시스템 부팅 시 BIOS/UEFI 진입:**
   - 컴퓨터를 켜고 부팅이 시작될 때 `Del`, `F2`, `F10`, `Esc`, `F12` 등의 키를 눌러 BIOS/UEFI 설정 화면에 들어갑니다. 키는 시스템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Advanced 또는 Peripherals 메뉴로 이동:**
   - BIOS/UEFI 설정 화면에 진입한 후, 메뉴 중에서 `Advanced`, `Peripherals`, `Integrated Peripherals`, `Serial Port Configuration` 등의 항목을 찾습니다. 이 항목은 시스템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Serial Port 또는 COM Port 설정 확인:**
   - `Serial Port Configuration` 또는 `COM Port Settings` 항목을 선택합니다. 여기에서 사용 중인 시리얼 포트(예: `COM1`, `COM2`)와 관련된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Baud Rate 설정 확인:**
   - 시리얼 포트 설정 항목에 들어가면 `Baud Rate` 또는 `Speed`와 같은 옵션이 표시됩니다. 여기에서 현재 설정된 보드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변경 사항 확인 및 저장:**
   - 보드레이트를 확인한 후,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면 그대로 나가면 됩니다. 만약 보드레이트를 변경하고 싶다면, 원하는 값으로 변경한 후 `Save & Exit` 옵션을 선택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 참고사항
- 모든 BIOS/UEFI에는 시리얼 포트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최근의 많은 소비자용 메인보드는 시리얼 포트 설정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거나, 해당 기능을 숨기기도 합니다.
- 일부 서버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시리얼 콘솔 설정이 중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설정이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에 배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BIOS 화면에서 시리얼 포트의 보드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BIOS에서 관련 설정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다른 방법을 통해 보드레이트를 확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시리얼 통신에서 `n8` 설정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n:** 패리티 비트 없음 (No parity)
- **8:** 8비트 데이터 길이 (8 data bits)

이를 BIOS 또는 다른 설정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BIOS/UEFI 설정에서 확인**
- **시리얼 포트 설정 메뉴:** BIOS/UEFI에서 시리얼 포트 설정을 찾았다면, 보드레이트와 함께 데이터 비트(Data Bits), 패리티 비트(Parity Bit), 스톱 비트(Stop Bit)와 같은 옵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Data Bits** 옵션이 `8`로 설정되어 있고, **Parity** 옵션이 `None`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는 `n8` 설정과 동일합니다.

### 2. **운영 체제에서 확인**
만약 BIOS에서 해당 설정을 확인할 수 없다면, 운영 체제 내에서 시리얼 포트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inux:** `stty`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시리얼 포트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tyS0` 포트의 설정을 확인하려면:

  ```bash
  stty -F /dev/ttyS0 -a
  ```

  출력 결과에서 `cs8` (Character size 8 bits)과 `-parenb` (No parity enabled) 항목을 찾으면, 이는 `n8` 설정을 의미합니다.

- **Windows:** `Mode`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리얼 포트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M1` 포트의 설정을 확인하려면:

  ```cmd
  mode COM1
  ```

  출력 결과에 `Parity = None` 및 `Data Bits = 8`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 역시 `n8` 설정을 의미합니다.

### 3. **터미널 프로그램에서 확인**
터미널 프로그램(예: PuTTY, Minicom)을 통해 시리얼 포트를 설정할 때, 다음과 같은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 `n8` 설정이 됩니다:

- **Data Bits:** 8
- **Parity:** None
- **Stop Bits:** 1 또는 2 (보통 1로 설정)

터미널 프로그램의 설정 화면에서 이러한 항목을 직접 설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들을 통해 시리얼 포트가 `n8`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ttyS0로 부팅한다`는 것은, 시스템이 부팅 과정에서 시리얼 포트 `ttyS0`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을 처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부팅 로그를 시리얼 콘솔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시리얼 콘솔을 통해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모니터나 키보드를 직접 연결할 수 없는 서버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유용합니다.

### 구체적인 의미:
1. **부팅 메시지 출력**: 커널 부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나 로그가 `ttyS0`라는 시리얼 포트를 통해 출력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서버나 특정 장치에서 원격으로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거나 디버깅할 때 사용됩니다.

2. **콘솔 접근**: 부팅 후 시스템에서 콘솔 입력을 받을 때, 일반적인 경우라면 키보드와 모니터를 통해 직접 입력을 받지만, `ttyS0`를 통해 부팅할 경우 시리얼 포트에 연결된 장치(예: 시리얼 터미널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PC)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시스템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헤드리스 시스템 관리**: 모니터나 키보드가 없는 '헤드리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서버나 라즈베리 파이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시리얼 콘솔을 통해 원격으로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시리얼 포트의 역할:
- **ttyS0**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시리얼 포트를 의미합니다. `ttyS1`, `ttyS2`와 같은 다른 포트들도 있을 수 있지만, `ttyS0`가 기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이 포트를 통해 BIOS 메시지, 부팅 과정에서의 출력, 커널 메시지, 그리고 시스템의 셸(Shell) 인터페이스 등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 예시:
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에 있는 서버에 물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경우, 관리자는 시리얼 포트 `ttyS0`를 통해 서버의 부팅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팅 후에도 시리얼 콘솔을 통해 서버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tyS0`로 부팅한다는 것은 시리얼 포트를 통해 부팅 메시지와 콘솔 접근이 가능하게 설정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미지에 적힌 내용을 해석해드리겠습니다:

**질문 및 답변**

1. **What other skills do you think can make you more valuable in the workforce?**
   - (추가적인 답변이 없습니다.)

2. **How do you motivate others who you think are in the lowest time of their lives?**
   - (답변이 없습니다.)

**이미지 상단에 손글씨로 적힌 내용**
- Share my thoughts, and dreams.

**하단에 제목**
- How to Motivate Yourself

### 해석:

**질문 1**: "당신을 직장에서 더 가치 있게 만들 수 있는 다른 기술들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아직 답변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질문 2**: "당신이 생각하기에 삶에서 가장 힘든 시기에 있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동기 부여를 하시겠습니까?"
- (아직 답변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손글씨로 적힌 답변**:
- 내 생각과 꿈을 공유하기.

**하단 제목**:
- 자신을 동기 부여하는 방법.

이미지에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적혀 있지 않으며, 손글씨로 "내 생각과 꿈을 공유하기"라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하단의 제목은 "자신을 동기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 Linux/Windows 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최적화, 빅데이터 분석, 네트워크 관리 및 개발 운영 분야 중 1개 이상의 영역에서 1년 이하의 경력을 보유하신 분
-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기, 기계 등 관련 공학 전공자
- IT 기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본 지식 — 컴퓨팅/네트워킹/데이터베이스/보안/빅 데이터 및 분석/DevOps/프로그래밍
- 신기술에 대한 열정
- 소프트웨어 개발 또는 인터넷 업계에서 일한 경험
- OS부터 맞춤형 애플리케이션까지 전체 애플리케이션 스택을 관리한 경험
- 시스템 관리 (Linux/Window), 네트워크 관리 (DNS, IPsec, BGP, VPN, 로드 밸런싱) 또는 프로그래밍 (Java, Perl, Ruby, C# 및/또는 PHP) 에 대한 숙련도 입증
- 비즈니스 영어 스킬
- 뛰어난 구두 및 서면 의사소통 능력을 보유하신 분
- 고객 중심 사고와 멀티태스킹이 가능하신 분
- 기술에 관심이 많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
- 문제 해결/지원 경험을 보유하신 분

[ 다음의 어느 하나 이상의 지식 또는 경험을 보유하신 분]
- Server Admin 경험, 커널 드라이버 지식 (Linux/Windows 중 하나 또는 둘 다)
- 네트워크 인프라 및 L7 네트워크 기기의 설계·구축·운영 
- ID 관리, 암호화, 감사 및 관리 관련 제품 업무경험
- IT 보안 관련 업무경험
- 파일 시스템, 스토리지 서비스 개발 및 운용
- 동영상 전달 기반 구축 및 운영
- 애플리케이션 구축, 개발, 운영
- IoT 시스템 구축, 개발, 운영
- RDBMS 구축, 운영관리, 쿼리 튜닝 등 쿼리 분석/개선
- 데이터 분석 기반 구축 및 운영
- 기계학습모델 구축 및 운영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개발 경험
- 탁월한 한국어 커뮤니케이션 스킬 (회화 및 문장)
- Multi-tasking 능력
- 고객의 기술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 경험

 

 

->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이쪽은 아닌 것 같은데 일단 해두면 좋으니 ... 

어차피 백엔드로가도 배워야하는 건 마찬가지임

https://youtu.be/gIXQXLArTrM?si=99mPvW2L4V43MAKn



https://youtu.be/W__vaXRuPL8?si=BXz_RVKkdMwk3YVK


https://youtu.be/W__vaXRuPL8?si=BXz_RVKkdMwk3YVK


Bank is changing
-> bank have changed
Bank was chanig : yesterday

Most banks are reducing (be동사 다음에 ing 쓰기 )
-> most banks have reduced

Kb is the most famous bank in my country

CPU가 두 개 있을 때 "소켓"은 각 CPU를 마더보드에 장착하는 물리적 접점을 지칭합니다. 시스템에 두 개의 CPU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 각 CPU마다 별도의 소켓이 존재하며, 이는 듀얼 소켓 (Dual Socket)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1. **듀얼 소켓 시스템**: 마더보드에는 두 개의 CPU 소켓이 있으며, 각 소켓은 하나의 CPU를 수용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서 종종 볼 수 있습니다.
2. **소켓 번호**: 각 소켓은 소켓 0, 소켓 1 등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어, BIOS 또는 운영 체제에서 CPU를 식별할 때 사용합니다.
3. **병렬 처리**: 두 CPU가 동시에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성능과 병렬 처리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듀얼 소켓 시스템에서 "소켓"이라는 용어는 두 CPU 중 하나를 장착하는 위치를 각각 지칭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