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의 전송 속도나 통신 방식을 모른 채로 상대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서 자동으로 속도와 통신 방식을 설정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요즘 개발되는 네트워크 장비의 기본적인 사양이다.
사용 배경)
이전의 기술들은 서로 다른 방식의 기술의 경우 사용 커넥터가 달랐으므로, 케이블을 잘못 꼽게 될 수가 없었지만 , 10Base-T 에 이어 100Base-TX 가 RJ-45를 사용하게 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전송속도, Flow-control 등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상대방과 협의하여 두 장비 사이의 통신 방식을 맞추게 하는 Auto-nego 기술이 탄생했다.
주요 기술)
[통신 방식]
Half duplex
Full duplex
[속도] 10/100/1000 Mbps
Gigabit Ethernet 의 상용화로 총 세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추가 개념) 물리 계층의 종류
현재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물리 계층의 종류
Copper 인터페이스
전기신호가 구리선(copper wire)을 이용
전기 신호의 레벨을 이용하여 데이터 주고받음
Fiber 인터페이스
광신호는 광케이블(Fiber cable)을 사용
레이저를 이용해 일정한 파장을 갖는 신호의 펄스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주고받음 전기신호
서로 다른 물리 계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Auto-Nego 같은 동작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된다. 전기 신호의 경우, 속도에 상관없이 물리적인 특성은 동일하지만 광신호의 경우, 속도에 따라서 물리적인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Auto-nego 는 Copper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정의된다.
Auto -Nego 의 기본 원리
point-to-point link 에 대해서 정의된다. Auto-Nego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두 개의 장비 사이에서의 속도 및 통신 방식을 맞추기 위한 기술이므로 shared_media 가 아닌 point-to-point link 에서 동작한다.
Link 의 초기화 과정에서만 수행된다. Auto-Nego는 장비가 초기화되어 link를 설정하는 초기 단계에서만 수행된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중간에 Auto-Nego 가 수행되는 일은 없다. Link up 상태에서 Auto-Nego가 다시 수행되지는 않으며, 속도 및 통신 방식 변경을 위해서는 반드시 Link 가 down 된 후 Auto-Nego 값을 재설정 해야된다.
실제 신호와는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Auto-Nego는 속도와 통신 방식이 결정되기 이전의 통신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통신 속도와는 무관하게 매우 간단한 신호 및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기본 원리는 "Adertise" Auto-Nego 의 기본원리는 "Avertise" 방식이다. 즉, 여러 가지 전송 방식 중에서 자신이 지원가능한 방식을 상대방에게 Advertise 하고 이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방식을 채택한다. 초기에 케이블을 꽂으면 장비는 자신이 수행가능한 통신 방식을 알리고, 상대방의 전송된 기능을 보아 자신의 기능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통신 방식을 두 장비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 결정한다. Advertise 받은 상대 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고 지원가능한 가장 최고의 성능으로 Auto-Nego 한다.
이더넷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더넷이 아닌 통신 규약을 따르는 장비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다. EX) RJ-45 커넥터를 사용하면서도 이더넷이 아닌 Token Ring 방식 등을 사용하는 장비
[디지털투데이 추현우 기자] 민간 우주탐사 시대 연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과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은 대단히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하드웨어를 갖췄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도 남다른 특징들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리눅스 운영체제(OS)가 있다.
4일(현지시간) 미국 지디넷은 스페이스X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 발사 제어와 크루 드래건의 계기 비행 장치는 리눅스 기반으로 설계됐다. 리눅스는 항공우주 분야와 슈퍼컴퓨터,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 핵심 OS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스페이스X에는 비행 소프트웨어팀과 엔터프라이즈 정보시스템팀, 그라운드 소프트웨어팀, 항공전자기기팀 등 4개의 소프트웨어 개발팀이 있다. 규모는 100명 미만으로 미 항공우주국(NASA)나 보잉 등 다른 기관에 비해 크지 않다. 그러나 대단히 효율적으로 움직인다.
팰콘9 로켓의 비행 제어는 3개의 인텔 듀얼코어 프로세서가 장착된 리눅스 컴퓨터가 담당한다. 대단히 높은 안정성을 필요로 하므로 삼중 제어 시스템으로 설계됐다. 설치된 각 소프트웨어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C/C++ 언어로 개발한다.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우주 비행사 로버트 벤켄과 더글러스 헐리 [사진: NASA]
리눅스 OS에 C++ 작성된 프로그램으로 구동
크루 드래건 우주선 역시 리눅스 OS 기반에 C++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 구동된다. 과거 우주선과 가장 큰 차이점인 터치스크린 방식의 계기판은 크로미움 기반 웹 브라우저에 자바 스크립트 코드로 구성됐다. 우주선의 모든 작동과 설정을 터치스크린으로 할 수 있지만, 고장이나 오류에 대비해 필수 기능은 물리적 버튼과 스위치도 함께 배치했다.
크루 드래건에 탑승한 두 명의 우주 비행사 로버트 벤켄과 더글러스 헐리는 윈도10과 리눅스를 멀티 부팅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급 노트북인 HP Z북 15를 지급받았다. 리눅스에서 비행 관제 시스템에 접속하며, 윈도10에서는 이메일과 웹서핑 등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안정성을 최우선시 하기 때문에 최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쓰기 보다 성능이 충분히 검증된 제품을 사용한다. 다만, 스페이스X는 비용 절감과 빠른 개발 일정 확보를 위해 상용 부품과 소프트웨어를 대거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이텔릭체는 *별표(asterisks)* 혹은 _언더바(underscore)_를 사용하세요.
두껍게는 **별표(asterisks)** 혹은 __언더바(underscore)__를 사용하세요.
**_이텔릭체_와 두껍게**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취소선은 ~~물결표시(tilde)~~를 사용하세요.
<u>밑줄</u>은 `<u></u>`를 사용하세요.
이텔릭체는별표(asterisks)혹은언더바(underscore)를 사용하세요. 두껍게는별표(asterisks)혹은언더바(underscore)를 사용하세요. 이텔릭체와 두껍게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취소선은물결표시(tilde)를 사용하세요. 밑줄은<u></u>를 사용하세요.
목록(List)
<ol>,<ul>목록 태그로 변환됩니다.
1. 순서가 필요한 목록
1. 순서가 필요한 목록
-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서브)
-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서브)
1. 순서가 필요한 목록
1. 순서가 필요한 목록(서브)
1. 순서가 필요한 목록(서브)
1. 순서가 필요한 목록
-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에 사용 가능한 기호
- 대쉬(hyphen)
* 별표(asterisks)
+ 더하기(plus sign)
순서가 필요한 목록
순서가 필요한 목록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서브)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서브)
순서가 필요한 목록
순서가 필요한 목록(서브)
순서가 필요한 목록(서브)
순서가 필요한 목록
순서가 필요하지 않은 목록에 사용 가능한 기호
대쉬(hyphen)
별표(asterisks)
더하기(plus sign)
링크(Links)
<a>로 변환됩니다.
[GOOGLE](https://google.com)
[NAVER](https://naver.com "링크 설명(title)을 작성하세요.")
[상대적 참조](../users/login)
[Dribbble][Dribbble link]
[GitHub][1]
문서 안에서 [참조 링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문서 내 일반 URL이나 꺾쇠 괄호(`< >`, Angle Brackets)안의 URL은 자동으로 링크를 사용합니다.
구글 홈페이지: https://google.com
네이버 홈페이지: <https://naver.com>
[Dribbble link]: https://dribbble.com
[1]: https://github.com
[참조 링크]: https://naver.com "네이버로 이동합니다!"